반응형

전체 글 25

1부 활성성분 (동·식물 추출물)

1.동·식물 추출물화장품에 배합되어 온 물질들 중에는 오랜 사용경험을 통해서 또는 실제적인 실험을 통하여 그 효과를 인정받고 있는 동물 또는 식물 추출물들이 많다. 특히 동물 추출물은 대부분 소의 각 부위에서 추출되어 1980년대까지 화장품 원료로 널리 사용되었다. 그러나 1990년대 이후 소비자 인식 변화와 광우병 파동으로 동물 추출물들의 사용량은 급격히 줄어들고 그 대신 미생물 배양에 의해 얻은 성분과 식물 추출물들이 사용되고 있다. 이 물질들은 기능성과 동시에 약리효과가 있는 것이 특징인데, 오늘날에는 각종 화장품에 이들 추출물들을 적당량 첨가하여 유효성을 얻고자 하는 상황이다.1) 콜라겐 : 인체를 구성하고 있는 전체 단백질의 33%는 콜라겐이며, 또한 이들 콜라겐은 섬유상 단백질로 신체를 구성하..

화장품학 2025.02.17

기타첨가제

1. 산화방지제 화장품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이 물과 유지(오일, 왁스)가 혼합된 에멀젼이거나, 유지에 안료가 분산된 색조화장품으로, 유지가 차지하는 비중이 상당히 높다. 그러나 유지는 공기 중에 오래 노출되거나 높은 온도나 빛에 오래 방치되었을 때 산화가 잘 일어나게 된다. 따라서 유지의 산화를 방지하고 화장품의 품질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첨가되는 것이 산화방지제다. 대표적인 산화방지제는 천연 산화방지제, 합성 산화방지제가 있다. 산화방지제도 단일의 산화방지제를 사용하는 것보다 구연산(Citric Acid)+주석산(Tartaric Acid)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효과 면에서 우수하므로 산화방지 보조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1. 산화방지제의 종류- 토코페롤 (Tocopherol) : 불안정하므..

화장품학 2025.02.16

보존제

보존제보존제의 정의 : 물질의 부패를 막는 성분이다. 화장품에는 각종 유수분, 보습제 및 활성성분 등이 함유되어 있고 이들은 공기나 각종 불순물에 노출되었을 때 산화, 즉 부패를 유발하게 된다. 부패는 미생물의 증식에 의해 변질되었을 때 나타나는 것으로 향, 색상, 점도 등의 변화를 일으키거나 곰팡이가 생기는 등의 현상이 나타난다. 미생물의 증식은 적절한 온도와 수분, 영양분이 있어야 하며 자연의 거의 모든 물질에서 증식할 수 있다. 이러한 미생물의 억제를 위해 화장품 제조에서부터 소비자가 일정기간 동안 인체에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보존제를 첨가한다. 보존제는 피부에 대한 안전성 테스트를 거친 후 안전성이 확인된 것을 사용하고 있다.1. 화장품과 미생물 : 화장품이 미생물에 오염되면 감염증을 유발할..

화장품학 2025.02.1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