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장품학

기타첨가제

lomir 2025. 2. 16. 10:00
반응형

1. 산화방지제 

화장품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이 물과 유지(오일, 왁스)가 혼합된 에멀젼이거나, 유지에 안료가 분산된 색조화장품으로, 유지가 차지하는 비중이 상당히 높다. 그러나 유지는 공기 중에 오래 노출되거나 높은 온도나 빛에 오래 방치되었을 때 산화가 잘 일어나게 된다. 따라서 유지의 산화를 방지하고 화장품의 품질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첨가되는 것이 산화방지제다. 대표적인 산화방지제는 천연 산화방지제, 합성 산화방지제가 있다. 산화방지제도 단일의 산화방지제를 사용하는 것보다 구연산(Citric Acid)+주석산(Tartaric Acid)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효과 면에서 우수하므로 산화방지 보조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 산화방지제의 종류

- 토코페롤 (Tocopherol) : 불안정하므로 토코페롤 아세테이트 유도체형으로 주로 사용한다.

-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 (BHT, Dibutyl Hydroxy Toluene) : 물에는 녹지 않으나 유지와 유기용매에는 녹는다. 내열성과 내광성이 우수하다.

- 부틸하이드록시아니솔 (BHA, Butyl Hydroxy Anisole) : 물에는 녹지 않으나 유지와 유기용매에는 녹는다. 내열성은 좋으나 내광성은 약하다.

2. 금속이온 봉쇄제

화장품에 금속이온이 존재하게 되면 화장품의 품질이 저하되는 직접, 간접적인 원인이 될 수 있다. 금속이온은 유성원료의 산화를 촉진하고 변색, 변취의 원인이 되며, 화장수 등에 침전물을 생기게 하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러한 금속이온의 활성을 억제하기 위해 첨가되는 것이 금속이온 봉쇄제 (Sequestering Agents, Chelating Agents)인데 킬레이트제 (Chelating Agent)라고도 한다. 킬레이트제는 각종 금속이온과 킬레이트 화합물을 만드는 성질을 가지고 있으므로 이러한 성질을 이용하여 금속이온을 봉쇄한다. 대표적인 금속이온 봉쇄제는 에틸렌디아민4초산(EDTA)의 나트륨염, 인산, 구연산, 아스코르빈산, 호박산, 글루콘산, 폴리인산나트륨, 메타인산나트륨 등 이다.

- 디소듐이디티에이(Disodium EDTA) : 백색의 결정성 분말로 금속이온에 의한 침전을 방지하기 위해 화장수와 유화제품에 사용된다. 물에는 용해되지만 에탄올에는 용해되지 않는다.

- 구연산나트륨(Sodium Citrate) : 무색 또는 백색의 결정성 분말로 금속이온에 의한 침전을 방지하거나 산화방지, pH 완충제 등으로 사용된다.

3. pH 조정제

화장품의 품질을 유지하기 위해 각각의 화장품 안전 기준에 있는 pH를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pH조정제는 각 화장품의 pH를 적절한 상태로 유지하거나 화장품 원료를 중화할 때 사용된다. ‘트리에탄올아민’을 비롯하여 산이나 알칼리 성질의 성분이 사용된다.

4. 결합제

가루로 된 화장품원료들을 서로 결합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성분으로 주로 색조화장품들의 파우더 제품을 고형으로 성형하기 위해 압축하는 과정 또는 압축 후에 점착성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한다. 주로 소량의 오일이나 왁스, 계면활성제 등을 사용하는데 이것을 결합제 또는 바인더(Binder)라고 한다. 결합제(Binder) 의 종류는 구아검, 덱스트린, 라놀린알코올, 라놀린왁스, 메틸셀룰로오스, 비즈왁스, 밀전분, 세레신, 셀룰로오스검, 쉘락, 아크릴레이트·아크릴아마이드코폴리머, 알진, 아이소스테아릴이소스테아레이트, 아이소프로필라놀레이트, 아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 아이소프로필팔미테이트 등 이다.

 

반응형

'화장품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2부 활성성분 (비타민,그 외)  (0) 2025.02.18
1부 활성성분 (동·식물 추출물)  (2) 2025.02.17
보존제  (0) 2025.02.15
향료  (0) 2025.02.14
색소  (2) 2025.0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