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비타민
비타민은 우리 몸 안에서 합성되지 못하고 반드시 음식물을 통해 체내로 흡수되며 지용성 비타민류가 수용성 비타민류보다 피부 표면에서의 친화력이 강하여 경피 흡수가 쉽다.
1) 비타민 A와 그 유도체들(Retinoid) : 비타민 A는 쉽게 산화되어 분해되므로, 에스테르 타입인 비타민 A 팔미테이트(Palmitate)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레티놀은 레티노산(Retinoic Acid)의 전구물질로 잔주름 개선 효과가 있고, 피부에 대한 자극이 레티노산보다 적으나 쉽게 산화되므로 잘 밀봉해서 보관해야 한다.
2) 피리독신(Pyridoxine) : 비타민 B6는 비타민 B군 중에서 피부 대사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맡고 있다. 비타민 B6는 수용성이고 유지에 전혀 용해되지 않기 때문에 화장품 성분으로 사용할 때는 에스테르화한 피리독시 디옥타노에이트(Pyridoxine Dioctanoate), 피리독시 디팔미테이트(Pyridoxine Dipalmitate)와 같은 유도체 성분을 사용하고 있다. 피지 분비 억제 작용이 있어 지성 피부에 효과가 좋다.
3) 디-판테놀(D-Panthenol) : 비타민 B5[D-판토텐산(Pantothenic Acid)]의 전구체로 프로비타민 B5 또는 판토테닐 알코올(Pantothenyl Alcohol)이라고도 한다. 세포 증식을 도와주며 글리세린과 달리 끈적임이 없는 보습성분으로 피부 진정효과가 있다.
4) 비타민 C(Ascorbic acid) : 비타민 C는 수용성 비타민으로 피부에 흡수가 잘 되지 않으며, 쉽게 산화되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화장품 성분으로 사용할 때에는 비타민 C의 안정성을 높이고 피부 흡수를 촉진하기 위해 순수비타민 C를 안정화시킨 마그네슘 아스코빌 포스페이트(Magnesium Ascorbyl Phosphate)나 아스코빌 팔미테이트(Ascorbyl Palmitate)와 같은 유도체성분을 사용하고 있다. 비타민 C는 콜라겐 합성을 촉진시키고, 티로시나아제 활성을 억제하여 피부 미백에도 효과가 있다.
5) 비타민 E(α-Tocophorol) : 토코페릴 아세테이트(Tocopheryl Acetate)라고도 하며 말초 순환 기능 촉진, 피부 염증 억제, 노화억제, 유해산소 제거 등의 효과가 있다. 비타민 E 역시 비타민 C와 마찬가지로 쉽게 산화되어
분해되므로 화장품 성분으로 사용할 때에는 에스테르 타입인 비타민 E 아세테이트를 사용한다.
6) 비오틴(Biotin) : 비타민 H라고도 하며 동식물계에 널리 분포하는 세포 성장인자다. 손상된 케라틴 단백질을 회복시키므로 손톱, 모발 등의 치유에 좋다.
3. AHA(Alpha-Hydroxy Acid)
과일이나 채소에서 추출한 천연산으로 각질제거와 피부 간접 재생의 효과가 뛰어나며 피부의 유연기능과 보습기능이 있다. 농도에 따라 다양한 효능으로 적용할 수 있으나, 고농도로 함유될 경우는 피부에 도포 시 따끔거림이 있거나 햇빛에 민감해지는 등의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화장품에 배합 시 대부분 농도를 pH 3.5 이상에서 10% 이하로 사용하고 있다.
1) 글리콜산 (Glycolic Acid) : 사탕수수에 함유되어 있는 성분으로 AHA 중에서 가장 분자량이 작아 침투력이 우수하다. 섬유아세포의 증식작용과 주름개선 작용이 있다.
2) 젖산 (Lactic Acid) : 쉰 우유에 함유되어 있으며, 글리콜산에 비해 각질제거 효과는 약하지만 천연보습인자의 하나로 보습작용도 있고 각질층의 세라마이드 양도 증가시켜 준다.
3) 사과산 (Malic Acid) : 사과나 복숭아 등에 함유되어 있는 성분으로 보습작용과 pH 조절 작용이 있다.
4) 주석산 (Tartaric Acid) : 신 포도에 함유되어 있는 성분으로 포도산이라고도 한다.
5) 구연산 (Citric Acid) : 레몬이나 오렌지 등에 많이 함유되어 있으며 화장품에서는 주로 pH조절제나 킬레이트제, 산화방지제 용도로 사용된다.
4. BHA(Beta-Hydroxy Acid)
살리실산(Salicylic Acid)이 대표적이며, AHA보다는 각질제거 효과가 약하지만 피부 안전성이 좋다. 여드름 피부용 화장품에서 각질제거 효과나 피지 제거 효과를 위해 사용된다.
5. 클레이(Clay)
점토라고도 하며, 대체로 광물질의 혼합체이다. 색은 보통 분홍색, 백색, 회색 및 녹색일 수 있으며 음이온을 띠고, 표면적이 커질수록 양이온 분자와 독소를 끌어당기는 힘은 더욱 커진다. 점토는 이러한 기능 때문에 벌레 물린 곳, 피부 발진, 햇빛에 과다 노출된 곳, 화상, 종기 및 물집 잡힌 곳 등을 진정시키는 기능이 있으며, 얼굴 마스크와 파우더 형태의 화장품에 사용된다.
6. 알긴산(Alginic Acid)
알긴산은 갈조류의 세포간 점액물질로 존재하는 다당류이며, 점증제와 안정제 및 겔 형태의 화장품 제조에 사용되며, 보습효과가 있다. 특히 모델링 마스크로 알려진 팩제의 주요성분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화장품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안화장품 사용목적과 종류 (0) | 2025.02.20 |
---|---|
기초화장품의 필요성과 기능 (0) | 2025.02.19 |
1부 활성성분 (동·식물 추출물) (2) | 2025.02.17 |
기타첨가제 (0) | 2025.02.16 |
보존제 (0) | 2025.0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