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화장품학 23

기타첨가제

1. 산화방지제 화장품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이 물과 유지(오일, 왁스)가 혼합된 에멀젼이거나, 유지에 안료가 분산된 색조화장품으로, 유지가 차지하는 비중이 상당히 높다. 그러나 유지는 공기 중에 오래 노출되거나 높은 온도나 빛에 오래 방치되었을 때 산화가 잘 일어나게 된다. 따라서 유지의 산화를 방지하고 화장품의 품질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첨가되는 것이 산화방지제다. 대표적인 산화방지제는 천연 산화방지제, 합성 산화방지제가 있다. 산화방지제도 단일의 산화방지제를 사용하는 것보다 구연산(Citric Acid)+주석산(Tartaric Acid)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효과 면에서 우수하므로 산화방지 보조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1. 산화방지제의 종류- 토코페롤 (Tocopherol) : 불안정하므..

화장품학 2025.02.16

보존제

보존제보존제의 정의 : 물질의 부패를 막는 성분이다. 화장품에는 각종 유수분, 보습제 및 활성성분 등이 함유되어 있고 이들은 공기나 각종 불순물에 노출되었을 때 산화, 즉 부패를 유발하게 된다. 부패는 미생물의 증식에 의해 변질되었을 때 나타나는 것으로 향, 색상, 점도 등의 변화를 일으키거나 곰팡이가 생기는 등의 현상이 나타난다. 미생물의 증식은 적절한 온도와 수분, 영양분이 있어야 하며 자연의 거의 모든 물질에서 증식할 수 있다. 이러한 미생물의 억제를 위해 화장품 제조에서부터 소비자가 일정기간 동안 인체에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보존제를 첨가한다. 보존제는 피부에 대한 안전성 테스트를 거친 후 안전성이 확인된 것을 사용하고 있다.1. 화장품과 미생물 : 화장품이 미생물에 오염되면 감염증을 유발할..

화장품학 2025.02.15

향료

향료(Flavouring)향료의 정의 : 향의 사용은 인류와 함께 오래된 역사를 가지고 있다. 향료는 지구상에 있는 휘발성 물질이 발산될 때 취신경이 자극을 받아 느끼는 감각 중에서 인류생활에 유익하게 이용되는 냄새를 말한다. 클레오파트라나 양귀비 등 동서양의 미녀들은 오래전부터 향을 가까이 두고 사용하여 왔으며, 화장품을 사용할 때 좋은 향기를 맡음으로써 기분이 좋아질 수 있으며 마음이 풍요로워지는 것을 느낄 수 있다. 또한 화장품의 향기는 이를 사용하는 사람의 매력을 이끌어 내고 자신의 매력을 연출하는 목적으로도 사용한다. 이러한 이유로 향은 화장품 선택에 있어 매우 중요한 부분이라 할 수 있다.향료의 사용목적 : 향료는 향기를 이용해 화장품을 사용하는 사람의 매력을 이끌어 내어 자기의 매력을 연출하..

화장품학 2025.02.14

색소

색소색소의 정의 : 색소는 화장품에 배합되어 화장품이나 피부에 색을 부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주로 적절한 색상을 표현하기도 하고 피복력을 가지거나 자외선을 방어하기도 한다. 주로 메이크업 화장품에 사용되는데 메이크업 화장품에 사용 된 착색제(색소)는 피부의 결점을 감추고, 보다 건강하고 매혹적인 피부 표현을 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기초화장품에서는 내용물의 외관을 좋게 보이기 위해서 극소량 배합되기도 한다. 화장품에 배합되는 색소는 크게 유기합성 색소(타르색소), 무기 안료, 천연색소로 나눌 수 있으며, 제품별 필요에 따라 진주광택안료나 고분자 분체들이 화장품 원료로 상용되고 있으며, 새롭고 다양한 기능의 분체가 개발되고 있으나 색소원료는 식품, 화장품, 의약품에 사용할 수 있는 것이 그 목적에 ..

화장품학 2025.02.13

고분자화합물

고분자화합물고분자화합물(폴리머, Polymer) : 단위체 구조가 반복해서 연결된 물질이다. 2종류의 단위체로 된 혼성 중합체(공중합체)를 코폴리머(Copolymer)라고 한다. 고분자화합물(폴리머, Polymer)은 소중합체(분자량이 작은 것 또는 중합도가 수십 이하인 것), 고중합체(중합도가 큰 거대분자) 의 중합반응에 의해 생성된다. 천연에서 고분자화합물은 단백질을 비롯한 녹말이나 셀룰로오스 등 천연으로 존재하는 것이 있다. 나일론이나 테트론 등의 합성섬유와 베이클라이트, 폴리염화비닐, 폴리에틸렌, 스티로폴 등은 합성 고분자화합물에 해당한다. 화장품에 있어서 폴리머는 점증제, 피막제, 수지 분말로서 주로 이용되며 보습제, 계면활성제로도 일부 이용되기도 한다.1. 점증제(Thickening Agent..

화장품학 2025.02.12

수성원료와 계면활성제

수성원료 (정제수, 에틸알코올, 보습제)1. 정제수(De-ionized Water, Purified Water) : 화장품의 주원료가 되는 성분으로 성분함량이 높아 화장품 전성분 표시에서 가장 앞에 나열되는 보편적인 원료이다. 화장품 제조에 있어서 훌륭한 용매로 피부를 촉촉하게 해주는 기능을 한다. 화장품 제조에 사용되는 물은 주로 이온교환수지를 이용하여 정제한 이온교환수를 자외선 램프에 비추어 멸균한 물을 사용하며, 제조업체에서는 대부분 역삼투압(R/O, Reverse Osmosis) 장치를 이용하여 이온을 정제하고 멸균하여 사용하고 있다.화장품 제조에서 정제수를 사용하는 이유는 세균에 오염된 물은 피부에 손상을 가져올 수 있고 또한 𝑪𝒂𝟐+나 𝑴𝒈𝟐+ 등과 같은 금속이온들이 화장품에 함유된..

화장품학 2025.02.11

화장품 성분학 및 유성원료

화장품 성분학1. 화장품 성분학의 정의 : 대표적인 화장품 성분 물, 보습제, 유성원료, 계면활성제, 고분자화합물, 용제, 분체, 색소, 향료, 방부제, 활성성분, 기타 첨가물 등이 있다. 최근에는 기능성화장품 시장이 확대됨에 따라 유효활성 성분의 탐색과 개발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특히 천연추출물 등을 통한 미백, 주름방지, 노화예방 등의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2. 화장품 성분의 표시방법 : 나라마다 상이함.- 미국 : 1977년부터 FDA(Food Drug Administration)에서 화장품에 사용된 성분을 표기하는 것을 의무화하였다.- 유럽 : 1997년부터 전성분표시제를 시행해 왔다.- 일본 : 2001년부터 전성분표시제를 의무화하여 시행하고 있다.- 우리나라 : 2008년..

화장품학 2025.02.10

화장품의 제형화 기술

표면과 계면물질(기체, 액체, 고체) 세 가지 상은 물질의 분자들이 서로 끌어당기는 인력의 결과로 존재한다. 일정 공간 내에 많은 분자들이 존재하면 액체나 고체 상태를 유지하며 일정 공간 내에 적은 수의 분자들이 존재하면 기체가 된다. 물리적 상태가 다른 물질들이나 또는 같은 물리적 상태라도 화학적 성질이 다른 물질들이 서로 접촉하게 되었을 때 그 접촉면을 ‘계면’이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기체 또는 진공과 경계면을 이루는 액체나 고체의 경우는 그 경계면을 ‘표면’이라고 하며, 넓은 의미로 표면도 계면의 일부라고 본다. * 계면 : 기체와 액체, 액체와 액체, 액체와 고체가 서로 맞닿은 경계면계면활성제의 구조와 기능 및 특성1. 계면활성제(Surface Active Agent, Surfactant) : 계..

화장품학 2025.02.09

피부의 기능과 화장품

피부의 기능피부는 우리 몸의 신진대사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하며, 신체의 항상성을 깨뜨리는 외적 요인들로부터 내부기관을 보호하고 생명을 지키는 역할을 한다.보호기능 : 피부는 외부환경과 직접적으로 접해있기 때문에 많은 자극을 받고 있다. 피부는 이러한 주위에서 오는 자극 요인으로부터 생체를 보호하는 작용을 한다.1) 화학적 방어기능 : 피부의 화학적 방어기능은 피부 위의 피부 보호막에 의해 이루어진다. 피부 보호막은 피부 표면의 산성막(pH 5.5~6.5)으로 피부 자체만으로 보호하지 못하는 부분들을 추가적으로 보호한다.2) 물리적 방어기능 : 진피의 탄력섬유와 진피 아래의 피하지방조직은 외부로부터의 물리적인 힘에 대한 완충 역할을 한다.3) 생물학적 방어기능 : 표피의 랑게르한스세포와 진..

화장품학 2025.02.03

화장품의 품질특성 및 개발과정

화장품의 품질특성품질 : 소비자의 만족도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다. 기획 설계의 품질, 제조상의 품질, 판매상의 품질, 기업의 경우 품질을 고려하여 나눌 수 있는데, 어떤 경우에도 품질 특성을 만족시키는 것이 필요조건이다. 화장품의 품질특성 : 화장품을 만들어 판매하는 경우, 안전성(피부에 대한 자극, 알레르기, 독성이 없을 것),사용성(보관에 따른 변질, 변색, 변취, 미생물의 오염이 없을 것),유효성(보습, 유연, 노화억제, 자외선차단, 미백, 세정, 색채효과 등을 부여할 것),사용감 및 사용 편리성(피부에 사용했을 때 손놀림이 쉽고, 피부에 매끄럽게 잘 스며들 것)으로 기본적으로 소홀히 해서는 안 될 중요한 특성을 말한다. *안전성이 좋다는 것은 피부에 대한 자극, 알레르기, 독성 등이 적다는 것을 ..

화장품학 2025.01.20
반응형